2018년에 입학한 중학생들은 2015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됩니다.

이에 대한 사항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시행년도


2017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초등학교 

 초등1~2

초등3~4 

초등5~5 

 

중학교 

 

중등1 

중등2 

중등3 

고등학교

 

고등1 

고등2 

고등3 




 2018 중학교 교과 학습평가 주요취지

  • 과정 중심의 평가 실시

  • 수행평가와 서·논술형 평가를 통한 창의력, 상호작용 능력, 문제해결 능력 신장

   - 수행평가는 수업 중 실시하며 (부모숙제가 아님), 교사의 평가권이 강화됨

  • 학교의 과목별 평가 세부계획 공개를 통해 학부모,학생의 신뢰도 제고

   - 학교별 공개내용 확인 필요.




 '성취평가제' 시행  


적용 학년

학업성취수준 표기 방법 

비고 

전 학년


  • 성취도(수강자수),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

  - 성취도는 'A-B-C-D'로 표기

  - 단, '자유학기'에는 서술식 기재


 체육, 예술교과는
 A-B-C만 기재


  • 학생들의 시험 부담에서 벗어난 과정중심 평가 실시
    - 자기성찰 평가, 학생 동료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오픈북 평가 등
  • 학습목표에 대한 학생의 도달 정도, 노력 정도 등 평가결과를 생활기록부의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에 기재


 자유학기의 성취평가 

  • 중간, 기말고사를 실시하지 않고, 100% 과정 중심 수행평가 및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에 서술식으로 평가
  • 학교별로 평가 방법, 시기, 내용을 자체 결정
  • 표기 예시

 수업 시간 자기 주도적인 태도로 수업에 참여하고 언어적 사고력과 창의적인 표현력이 뛰어남. 갈등 상황을 상황극 형식으로 만들어 역할극을 해봄으로써 상대의 입장과 처지를 고려하면서 공감을 유발하는 대화를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줌. 또한, 화단을 관찰한 뒤 관찰대상에 대여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시로 표현할 때, 다양한 표현 방식을 활용하여 급우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음. 급우들의 발표를 경청하고 적극적으로 평가 활동에 참여하여 발표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줌

  • '자유학기 활동상황'에 대한 특기사항을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기재
  • 표기 예시

 (연극 프로젝트)(○○시간) 연극과 드라마 대본 만들기 협력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

하고, 특정 상황을 연기하는 과제 수행 시 정확한 발음과 적합한 발성으로 표현함.

영상 촬영 시에 효율적인 연기 동선을 구상하기 위해 세심하게 살피고, 사실적인 연기와 창의적 연출에 대해 높은 흥미와 관심을 보임. 관련된 직업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자신의 진로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워 현실화하기 위해 계속 노력함



 자유학기의 이외 학기의 성취평가

  • 중간고사(지필평가) 시행하지 않음
  • 학기 중 서·논술형 평가 및 수행평가(50% 이상)와 기말고사(지필평가)를 합산하여 학기말 점수성적 산출
    - 2단위 과목은 20%이상 반영
  • 단, 기말 지필평가 없이 수행평가만으로도 점수성적 산출 가능


 실험 내용이 있는 과목(기술·가정, 정보 포함)의 평가

  • 실험평가를 학기말 총 배점의 20%이상 반영
    - 3단위 이상 : 수행평가(실험20%포함) 45%이상 반영
    - 2단위 이상 : 실험20%반영
    *실험 내용을 서·논술형으로 평가하는 것은 실험평가에 해당되지 않음


 영어 교과의 평가

  • 말하기, 듣기, 쓰기 평가를 전체 평가의 50% 이상 반영
  • 말하기 10% 이상 포함
    - 말하기, 듣기, 쓰기 평가 50%는 수행평가, 정기고사에 관계없이 혼합실시 가능
  • 예시

 예시1] 말하기 수행평가 10%, 쓰기 수행평가(포트폴리오) 35%, 정기고사 시 듣기 15% 

 예시2] 만하기 수행평가 15%, 쓰기 정기고사 서·논술형 35%, 듣기 정기고사 10%









참고 자료: 


2018학년도+중학교+교과학습평가+시행+계획.pdf


Posted by 이온의 일상
,
안녕하세요~

초기에는 초등교육 수준으로 기본적인 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블로그 하려고 했으나,
아무래도 교육은 전반적으로 연계되어있다보니, 시간날 때 중등, 고등 교육파트까지 확장하여 전달하려고 합니다.


 고교학점제?


한 마디로 고등학생도 대학처럼 자신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서 이수하는 형태로 변경되는 것을 말합니다.



 언제 시작되나?


2018년 1학기 부터 시범학교 105개에서 시행되며, 2022년에는 전면 도입계획입니다.

시범학교는 연구학교와 선도학교로 분류됩니다.


  • 연구학교: 교육부가 지정·운영하는 학교로 3년간 운영되며, 매년 4000만~5000만원의 예산을 지원받습니다. 사실상 고교학점제가 주도적으로 시범운영되는 학교입니다.
  • 선도학교: 각 시·도 교육청이 지정·운영하며, 연간 1000만원의 예산을 받아 다양한 수업 모델을 발굴하는 역할을 합니다. 1년간 운영되며, 다음 해 재지정 될 수 있습니다.


■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지정현황

지역

 구분

학교명 

서울(7)

일반계

 동북고, 불암고, 서울사대부고, 세현고

직업계

 경기기계공업고, 미림여자정보과학고, 선린인터넷고

부산(1)

일반계

 부산남고

대구(5)

일반계

 다사고, 덕원고, 비슬고

직업계

 경북기계공고, 대구일마이스터고

인천(4)

일반계

 선인고, 제물포고

직업계

 도화기계공고, 인천전자마이스터고

광주(2)

일반계

 빛고을고

직업계

 광주자동화설비공업고

대전(1)

일반계

 대전용산고

울산(3)

일반계

 매곡고, 화봉고

직업계

 울산상업고

 세종(1)

일반계

 양지고

 경기(11)

일반계

 고색고, 위례한빛고, 이우고, 평택고, 갈매고

직업계

 경기영상과학고, 고양고, 남양주공고, 삼일공고, 성남금융고, 인양공고

강원(2)

일반계

 황지고

직업계

 도계전산정보고

충남(2)

일반계

 천안신당고

직업계 

 당진정보고

전남(4)

일반계

 장흥고, 중마고

직업계

 목포성신고, 순천효산고

경북(4)

일반계

 대영고, 인동고

직업계

 금오공고, 한국생명과학고

경남(4)

일반계

 김해임호고, 함안고

직업계

 거제여자상업고, 경남자영고

 제주(1)

일반계

 대정고



■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지정현황

 지역

학교명

 서울(5)

 도봉고, 미양고, 여의도고, 은광겨고, 한서고 

 부산(4)

 동아고, 명호고, 부산진여고 

 대구(4)

 경상여고, 대구동부고, 상인고, 수성고

 인천(5)

 백석고, 부개여고, 신송고, 인천대건고, 인천신현고 

 광주(3)

 금호고, 서강고, 첨단고 

 대전(2)

 구봉고, 노은고 

 울산(4)

 남목고, 대현고, 범서고, 화암고 

 세종(1)

 한솔고 

 경기(8)

 경기창조고, 비전고, 산본고, 서해고, 신리고, 용인백현고, 용인삼계고, 호평고 

 강원(2)

 양양고, 장성여고 

 충북(2)

 오송고, 주성고 

 충남(1)

 대산고 

 전북(3)

 순창고, 장수고, 전주고 

 전남(2)

 강진고, 해룡고 

 경북(2)

 안동고, 영광고 

 경남(2)

 군북고, 창원중앙고 

 제주(1)

 서귀포여고 



 선택과목과 수강방식은?


대학교 교육역시 필수과목과 선택과목이 있습니다. 고교 역시 필수 공통과목은 의무적으로 수강하게 됩니다.





 주요 특징


  • ICT기반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도입

6개 시·도 교육청(서울, 인천, 대구, 충남, 전남, 경남)에서 도입한 교육과정이 각 시·도의 교육여건에 따라 18년도 1학기 부터 운영됩니다. 


확대 운영된다면, 학교 내에서 전문 선생님이 없더라도(특히 농어촌 및 도서·산간 지역)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수업을 받을 수 있게됩니다.


단순 녹화된 강의영상을 보는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쌍방향 소통 기반의 수업이 이루어 집니다. 


*이렇게 쌍방향 수업이 가능하려면 학교 내 컴퓨터 성능, 적정 성능의 화상캠 장비, 인터넷 환경 등이 충분히 갖춰져 있는 학교에서 가능합니다.


*쌍방향 소통수업이므로 평가에는 학생의 수업태도 및 참여도(발언 횟수 등) 등도 반영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실시간 수업이므로, 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이 있는 시설이 갖춰진 주도학교가 있어야 하고, 해당 선생님이 수업할 수 있는 시간도 한정적이기 때문에, 참여 수업 수와 인원이 제한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수행계획에 따라 지정된 학교가 참여 가능합니다.



 교육부에서 발표된 2018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시범운영 일정(안)



  • 경재, 제2외국어, 융합 분야 등 교과중점학교 운영 확대

학생 적성·소질을 고려하여 경제, 외국어 등 다양한 과목의 선택권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교과 중점학교는 16년부터 진행되고 있으며, 18년에는 60여개 규모를 신규 지정하여 19년부터 운영 예정입니다.


'16년 231개교 → '17년 334개교 → '18년 394개교


시·도 학교 여건에 따라 중점교과 전부 또는 일부를 교내 타 학생들도 수강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운영할 계획도 있습니다.


 교과중점학교 운영사례



  • 전문대와 연계한 직업교육 제공

기존 3학년학생 대상, 1년과정으로만 제공되던 일반고 학생대상 직업교육과정에서 2학년 2학기 학생의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전문대 연계 직업교육 위탁과정이 '16년 시범운영을 시작, '17년 7개 시·도 교육청 24개 전문대학의 48개 과정이 운영되었습니다.


18년에는 2학년을 대상으로 9개 시·도 1,100여명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참고 자료: 

2018년 고교 교육력 제고사업 지원계획 발표.pdf

2. 중앙일보 기사 http://news.joins.com/article/22309904

3. 교육부 영상 https://youtu.be/on1JpiS72EA

Posted by 이온의 일상
,

다른분께 공유하실때는 링크로 부탁드립니다~^^



2학년 2학기 파일도 작성하여 배포합니다~

학교마다 상이할 수 있으니, 학교에서 배포하는 경우, 학교 내용으로 연습시켜주세요.



2학년_2학기_받아쓰기_급수표_연습장.hwp




파일은 다음 2가지 형태로 만들어져 있어요.



1. 급수표와




2. 따라쓰기 연습장


나중에는, 칸 공책을 사셔서 부모님께서 불러주시고, 

받아쓰기 연습도 시켜보실 수 있으실 것 같아요.




 1학년 1학기 급수표 링크 ▶ https://jei-edu.tistory.com/6

 1학년 2학기 급수표 링크 ▶ https://jei-edu.tistory.com/7

 2학년 1학기 급수표 링크 ▶ https://jei-edu.tistory.com/11 

 2학년 2학기 급수표 링크 ▶ https://jei-edu.tistory.com/13 

 3학년 1학기 급수표 링크 ▶ https://jei-edu.tistory.com/45

 영어 알파벳 쓰기장 링크 ▶ https://jei-edu.tistory.com/40





도움이 되셨나요? 아래 [공감]을 눌러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Posted by 이온의 일상
,